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브라우저 렌더링
- GDSC
- 변수
- 회고
- 우선순위상속프로토콜
- GDSC_PKNU
- 우선순위역전
- 부스트캠프
- 데이터독립성
- CRDT
- 렌더 트리
- 타입
- 모던자바스크립트
- 확인문제
- CSSOM
- OS
- 멤버십
- 부스트캠프7기
- DB #데이터베이스
- Java
- 모던 자바스크립트
- 부스트컨퍼런스
- 부스트캠프웹모바일
- 놀러와요_해커톤
- 인프콘
- 운영체제
- 상태관리
- javascript
- js
- 그룹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D'log (42)
dohun.log

또 일주일이 이렇게 후루룩 지나갔다. 이번 주는 진짜로 한 주여서 (다른 주는 주말, 추석 연휴 등등 끼어있어서 거진 1.5주) 더 짧았던 것 같기도 하다. 매주 금요일은 피어세션을 진행한다. 피어 세션 진행 중에 이지 님이 들어오셔서 이런 말씀을 해주셨다. "학습" 스프린트니까 마음 편하게 "학습"에 집중 해봐요~ 나는 "스프린트"에 집중했던 것 같다. 저번 주에 너무 스프린트 해버린 탓인지 이번 주엔 달릴 힘이 없었다. 계속 집중이 안되고 산만해서 마무리를 제대로 못한 것 같아서 너무 아쉽다.😭😭 챌린지는 단거리였다면 멤버십은 장거리, 혹은 마라톤 같다. 오래 달리려면 처음부터 질주하면 안 된다. (사실 운동을 잘 못해서 어디서 들은 말입니다) 멤버십도 마라톤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내가 저번 ..

챌린지 시작 전엔 '아~ㅋㅋ 매주 회고 써야지 ㅋㅋ' 했는데 두 달이 지난 지금에서야 회고를 쓰는.. 첫날부터 지각을 했다. 이건 이유가 있다. (억울 X 100) 아침부터 바선생을 만났다. 이런 이유라면 다들 납득하실 거라고 믿고 용기 내서 슬랙에 "죄송한데 10분만 늦어도 될까요 ㅜㅜㅜ"라는 채팅을 보냈다. (10분.. 내 인생에서 제일 길었던 10분이었다.) 바선생은 가만히 있었지만 내 가슴은 엄청나게 뛰고 있었다. 괜히 큰 누나한테 전화하고 아빠한테도 전화했다. 그렇게 시간은 흘러가고 10분이 다되어갔다. 인생에서 가장 큰 용기를 내서 있는 힘껏 바선생을 잡고 아직도 신나게 뛰고 있는 심장을 부여잡고 얼른 줌으로 향했다. 늘 그렇듯 첫 만남은 설레면서도 너무 낯설다. 매주 새로운 피어분들을 만나는..

부스트캠프 7기 개발에 막 발을 들였을 때부터 가고 싶었던 부스트캠프에 드디어 지원했다. 작년엔 무서워서 도전을 못했는데 작년에 넣어볼걸 이라는 후회를 엄청 했다. 졸업학년에 와서 하려니까 떨어지면 하반기에 뭘 해야 할까 걱정이 된다. (프로걱정러특 일어나지도 않은 일 상상하면서 힘들어함) https://boostcamp.connect.or.kr/guide_wm.html 부스트캠프 개발자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 boostcamp.connect.or.kr 여기 나와있듯이 부스트캠프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이 된다. 현재 2차 온라인 코딩 테스트까지 완료했고 최종 합격자 발표만을 기다리고 있다. 알고리즘 문제는 파이썬 사용해서 푼다. 우테캠 코테에서만 js를 썼다. 1차 코딩 테스트 ..

► 첫째 돼지가 분개한 사건 [OS] 우선순위 역전 아기 돼지 삼 형제가 있다. (서열: 첫째 > 둘째 > 셋째) 셋째 돼지가 배가 고파서 부엌으로 갔다. 프라이팬을 꺼내 요리를 시작한다. 그리고 첫째 돼지도 배가 고파 부엌으로 왔다. 첫째 돼지도 프 dohun31.tistory.com 첫째 돼지는 서열 1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제일 마지막에 요리를 해야 한다는 사실에 매우 분개했다. 따라서 첫째 돼지는 셋째 돼지가 자신이 사용할 도구를 미리 사용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너 둘째가 와도 비켜주지 마. 지금부터 너는 나랑 서열이 똑같아 오키?" 그 이후 1, 2, 3번 까진 똑같이 흘러가지만 4번부턴 얘기가 달라진다. 셋째 돼지는 부엌으로 간다. 여기서 달라진 점은 현재 셋째 돼지..

아기 돼지 삼 형제가 있다. (서열: 첫째 > 둘째 > 셋째) 셋째 돼지가 배가 고파서 부엌으로 갔다. 프라이팬을 꺼내 요리를 시작한다. 그리고 첫째 돼지도 배가 고파 부엌으로 왔다. 첫째 돼지도 프라이팬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프라이팬이라는 공유자원은 셋째 돼지가 이미 사용하고 있다. 첫째 돼지는 어쩔 수 없이 셋째 돼지가 프라이팬 사용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셋째 돼지는 다시 부엌으로 가 마저 요리를 한다. 이때 둘째 돼지도 배가 고파 부엌으로 왔다. 둘째 돼지는 냄비를 사용해서 국물 요리를 먹으려고 한다. 프라이팬은 사용하지 않아 셋째 돼지를 기다릴 필요가 없고, 셋째 돼지보다 서열도 높기 때문에 당당하게 셋째 돼지를 내쫓을 수 있다. 그래서 둘째 돼지는 셋째 돼지의 자리를 차지해 맛있는 요리를..

참조에 의한 전달 이전 글에서도 말했듯이 원시 값은 call by value이고, 객체 값은 call by reference이다. function changePersonName(person) { person.name = 'hodun'; } let person = { name: 'dohun', age: 22 }; console.log(person); // {name: 'dohun', age: 22} changePersonName(person); console.log(person); // {name: 'hodun', age: 22} changePersonName함수에 매개변수로 person을 전달했을 때 person은 충분히 변경 가능하다는 얘기이다. 이처럼 객체가 변경되면 그 객체를 참조하는 모든 이들에게..
1. 원시 값 변경 불가능한 값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only 읽기 모드) 어? 그럼 내가 사용했던 변수는 뭐야...(예나, 선정이 딸이에요 "변수, 원시 딸이에요..") 다시 개념을 정리하면 변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하는 "식별자"이고, 값은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이다. 그럼 앞의 말은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변경하지 않으면 된다! 그러면 변수의 재할당은 어떻게 가능한걸까? 이전에 값의 재할당에서도 봤듯이 새로운 메모리 공간에 재할당하려는 값을 저장하고 변수가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게 하면 된다. 상수는 이러한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이다. (const!!) 문자열과 불변성..
구분 데이터 타입 설명 원시 타입 숫자 타입 (Number Type) 숫자, 정수와 실수 구분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문자열 타입 (String Type) 문자열 불리언 타입 (Boolean Type) 논리적 참(true)과 거짓(false) undefined 타입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null 타입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심벌 타입 (Symbol Type)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 객체 타입 객체, 함수, 배열 등 6.1 숫자 타입 var integer = 10; // 정수 var double = 10.12; // 실수 var negative = -20; // 음의 정수 var binary = 0b01000001; // 2진수 var..
5.1 값 값은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평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 5.2 리터럴 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리터럴 예시 비고 정수 리터럴 100 부동소수점 리터럴 10.5 2진수 리터럴 0b01000001 0b로 시작 8진수 리터럴 0o101 ES6에서 도임. 0o로 시작 16진수 리터럴 0x41 ES6에서 도입. 0x로 시작 문자열 리터럴 "Dohun" 불리언 리터럴 true, false 객체 리터럴 { name: 'Dohun', address: 'Busan' } 5.3 표현식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이다. 즉, 표현식이 평가되면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 값을 참조한다. var ..
4.1 변수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것이 전부다.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다. 사람은 계산과 기억을 모두 두뇌에서 하지만, 컴퓨터는 계산과 기억을 수행하는 부분이 다르다. (계산: CPU, 기억: 메모리) 10 + 20 10과 20은 메모리 상의 임의의 위치(메모리 주소)에 기억(저장)되고 CPU는 이 값을 읽어 들여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 결과로 생성된 숫자 30도 메모리 상의 임의의 위치에 저장된다. 연산의 결과를 재사용하려면 30이 저장된 메모리 위치를 알아내서 메모리 공간에 직접 접근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 메모리 주소를 통해 값에 직접 접근하는 것은 치명적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