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RDT
- 변수
- 렌더 트리
- GDSC_PKNU
- GDSC
- OS
- 부스트캠프7기
- 회고
- 인프콘
- 확인문제
- 그룹프로젝트
- javascript
- 놀러와요_해커톤
- 모던 자바스크립트
- 타입
- 모던자바스크립트
- js
- 운영체제
- 멤버십
- 우선순위역전
- 브라우저 렌더링
- 부스트컨퍼런스
- 부스트캠프웹모바일
- 상태관리
- Java
- CSSOM
- 우선순위상속프로토콜
- 데이터독립성
- 부스트캠프
- DB #데이터베이스
- Today
- Total
목록Study/Java (6)
dohun.log
배열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나열시키고, 각 데이터에 인덱스(index)를 부여해 놓은 자료구조 다음과 같은 4명의 학생의 점수를 담은 score 배열이 있다고 하자. 인덱스 0 1 2 3 데이터 83 90 87 93 score 배열의 각 인덱스는 각 항목의 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다음과 같이 배열 이름 옆에 대괄호 []에 기입된다. score[인덱스] 이렇게 성적을 배열로 만들면 평균값은 for문을 사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다. int sum = 0; for(int i = 0; i < 4; i++) { sum += score[i]; } int avg = sum / 4; ❓ 배열은 같은 타입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 → 다른 타입의 값을 저장하려고 하면 타입 불일치..
1.1 프로그래밍 언어란?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 기계어 ❓ 기계어 →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 ❓ 고급언어(c++, java …) → 컴파일러 → 기계어 1.2 자바란? 자바의 특징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 이식성 → 서로 다른 실행 환경을 가진 시스템 간에 프로그램을 옮겨 실행할 수 있는 것 자바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소스 파일을 다시 수정하지 않아도 자바 실행 환경이 설치되어 있는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다. 객체 지향 언어이다. ❓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들을 먼저 만들고, 이것들을 하나씩 조립 및 연결해서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기법 자바는 100% 객체 지향 언어 → 캡슐화, 상속, 다형성 기능 완벽하게 지원 함수적 스타일 코딩을 지원한다. ❓ ..
4.1 코드 실행 흐름 제어 4.2 조건문 4.2.1 if문 if문 if문은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 if(조건식) { // 조건식이 true } // 조건식이 false 조건식이 true일 경우 if문 내부의 실행문을 실행하고, false일 경우 if문 내부의 실행문을 실행하지 않는다. int a = 1; if(a < 10) { System.out.println("a는 10보다 작아요."); } if-else문 if 문은 else 블록과 함께 사용되어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실행 블록을 선택한다. if(조건식) { // 조건식이 true } else { // 조건식이 false } 조건식이 true일 경우 if문 내부의 실행문을 실행하고, false일 경우 else문 내부의 실행..
3. 연산자 3.1 연산자와 연산식 연산(operations):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 연잔자(operator):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피연산자(operand): 연산되는 데이터 연산식(expressions):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의 과정을 기술한 것 // operand operator operand => 연산식 x + y 연산식은 반드시 하나의 값을 산출한다. 따라서 하나의 값이 올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값 대신 연산식을 사용할 수 있다. int result = x + y; 3.2 연산의 방향과 우선순위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가진다. 산술, 비교, 논리, 대입 연산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가진다. 단항과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
1. 객체와 클래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청사진)와 같은 것이다. new 연산자로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함으로써 객체가 생성된다. 하나의 클래스로 하나의 객체만 생성할 수 있다. -> 하나의 클래스로 여러개의 객체 생성 가능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이다. 2. 클래스의 구성 멤버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필드(field) 생성자(constructor) 메소드(method) 로컬 변수(local variable) -> 클래스의 구성 멤버에는 필드, 생성자, 메소드가 있다. 3. 필드, 생성자, 메소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필드는 객체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생성자는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한다. 메소드는 객체의 동작 부분으로, 실행 코드를..
변수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딱딱하니까 쉽게 말하면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박스다. 그렇다고 박스에 아무거나 막 담을 수 있을까? 아니다😂 (약 타입 언어에서는 가능하지만 강 타입 언어에서는 절대 안 된다.) 타입 박스에 무엇을 담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이름표 같은 것이다. 타입의 종류 종류 타입 메모리 사용 크기 정수 byte 1 byte / 8 bit 정수 char 2 byte / 16 bit 정수 short 2 byte / 16 bit 정수 int 4 byte / 32 bit 정수 long 8 byte / 64 bit 실수 float 4 byte / 32 bit 실수 double 8 byte / 64 bit 논리 boolean 1 byte / 8 b..